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군마현 제1구

덤프버전 :


기타칸토 지방 국회의원
이바라키현, 도치기현, 군마현, 사이타마현
[ 중의원 의원 ]

이바라키 1구이바라키 2구이바라키 3구이바라키 4구이바라키 5구
후쿠시마 노부유키누카가 후쿠시로하나시 야스히로가지야마 히로시아사노 사토시
이바라키 6구이바라키 7구도치기 1구도치기 2구도치기 3구
구니미쓰 아야노나가오카 게이코후나다 하지메후쿠다 아키오야나 가즈오
도치기 4구도치기 5구군마 1구군마 2구군마 3구
사토 쓰토무모테기 도시미쓰나카소네 야스타카이노 도시로사사가와 히로요시
군마 4구군마 5구사이타마 1구사이타마 2구사이타마 3구
후쿠다 다쓰오오부치 유코무라이 히데키신도 요시타카기카와다 히토시
사이타마 4구사이타마 5구사이타마 6구사이타마 7구사이타마 8구
호사카 야스시에다노 유키오오시마 아쓰시나카노 히데유키시바야마 마사히코
사이타마 9구사이타마 10구사이타마 11구사이타마 12구사이타마 13구
오쓰카 다쿠야마구치 스스무고이즈미 류지모리타 도시카즈쓰치야 시나코
사이타마 14구사이타마 15구사이타마 16구
미쓰바야시 히로미다나카 료세이공석1
비례 1비례 2비례 3비례 4비례 5
오미 아사코후지오카 다카오노나카 아쓰시이시이 게이이치마키하라 히데키
비례 6비례 7비례 8비례 9비례 10
나카무라 기시로사와다 료다도코로 요시노리고미야마 야스코시오카와 데쓰야
비례 11비례 12비례 13비례 14비례 15
이시카와 아키마사고시미즈 게이이치이가라시 기요시사카모토 유노스케나카네 가즈유키
비례 16비례 17비례 18비례 19
다카하시 히데아키스즈키 요시히로아오야마 야마토후쿠시게 다카히로
일본 공산당의 당색은 #db001c이나, 자민당과의 구별을 위해 #9f001c로 표기함.
[1] 2022년에 공직선거법 개정안이 통과되어 신설된 지역구임.

{{{-1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선거구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군마현 제1구
群馬県第1区
||
파일:shuinsen_Gunma1.svg
선거인 수345,119명 (2022)
상위 도도부현군마현
하위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국회의원

나카소네 야스타카




1. 개요[편집]


군마현의 중부와 북동부 지역을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자유민주당 소속 나카소네 야스타카.


2. 상세[편집]


군마현의 여느 선거구들처럼 자민당이 우세한 곳이다. 다만 자민당이 압도적인 득표율을 거두는 4구, 5구에 비해, 1구, 2구, 3구는 야당도 종종 유의미한 지지율이 나온다.

소선거구 출범 이후 오미 고지 전 의원과 사타 겐이치로 전 의원이 번갈아가며 출마했다.[1] 이 때, 지역구에 출마하지 않은 의원은 비례대표 후보로 출마해 당선되곤 했다.

오미 고지 전 의원이 2009년 낙선 후 정계은퇴를 했고, 이후에 사타 겐이치로 전 의원이 연속으로 출마했다. 하지만 제46회 총선에 이어 연속으로 출마한 2014년 제47회 선거에서 당선은 되었지만, 4자 구도에서 너무 낮은 33%의 득표율을 얻어서 지역 조직의 신임을 잃었다. 결국 오미 고지의 딸인 오미 아사코 의원에게 지역 조직을 넘겨주었고 비례대표 후보로도 출마 기회를 얻지 못해 정계에서 은퇴했다. 참고로 원래는 나카소네 야스히로의 손자이자 나카소네 히로후미 전 외무대신의 아들인 나카소네 야스타카가 이 곳에 나올려고 했으나 불발되었다.[2]

곧 49회 총선거가 다가오는 판에 나카소네 야스타카와 현직 오미 아사코 측은 군마현 제1구 공천을 놓고 서로 한 치도 물러서지 않는 기싸움을 이어가는 판이다. 이 와중 나카소네가 속한 지수회 영수인 니카이 도시히로 간사장은 차기 중의원 공천은 당원 획득 실적을 반영하겠다고 밝혔는데 나카소네는 2년 연속 당원 획득 랭킹 10위 내에 들고 있다. 그 덕분인지 나카소네가 공천을 받고 오미가 비례대표로 출마하게 되었다.


3. 역대 중의원 의원[편집]




4. 역대 선거 결과[편집]



4.1.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군마현 제1구
마에바시시, 누마타시, 세타군, 토네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오미 고지110,103표1위


49.89%당선
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쿠마가와 츠기오58,025표2위


26.29%낙선
파일:민주당(일본 1996년) 로고.svg다카하시 히토시31,358표3위


14.21%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하세가와 가오루21,193표4위


9.60%낙선
유효표 수220,679표투표율
선거인 수


4.2.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군마현 제1구
마에바시시, 누마타시, 세타군, 토네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사타 겐이치로134,247표1위


59.13%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쿠마가와 츠기오61,658표2위


27.16%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야마다 후미코31,147표3위


13.72%낙선
유효표 수229,052표투표율
선거인 수


4.3.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군마현 제1구
마에바시시, 누마타시, 세타군, 토네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오미 고지130,242표1위


60.49%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다카하시 히토시68,960표2위


32.03%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마츠우라 노부오16,126표3위


7.49%낙선
유효표 수215,328표투표율
선거인 수


4.4.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군마현 제1구
마에바시시, 누마타시, 세타군, 토네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사타 겐이치로136,920표1위


55.82%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다카하시 히토시78,544표2위


32.02%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곤도 요시에18,578표3위


7.57%낙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쓰치야 도미히사11,233표4위


4.58%낙선
유효표 수245,275표투표율
선거인 수


4.5.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군마현 제1구
마에바시시, 누마타시, 세타군, 토네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미야자키 다케시122,711표1위


48.00%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오미 고지109,846표2위
[3]42.97%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사카이 히로아키15,783표3위
6.17%낙선
야마다 아키라5,505표4위
2.15%낙선
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다이자키 아키히코1,795표5위
0.70%낙선
유효표 수255,640표투표율
67.20%
선거인 수389,150인


4.6.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군마현 제1구
마에바시시, 누마타시, 세타군, 토네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사타 겐이치로94,709표1위
[4]45.01%당선
파일:일본유신회(2012년) 심볼.png우에노 히로시46,835표2위
[5]22.26%비례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미야자키 다케시35,074표3위
16.67%낙선
파일:일본 미래당 로고.png고토 아라타20,663표4위
[6]9.82%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우부카타 히데오13,152표5위
6.25%낙선
유효표 수210,433표투표율
56.06%
선거인 수385,702인

지난 선거에서 비례대표로 당선된 자민당 사타 겐이치로 의원에게, 일본 유신회 우에노 히로시 후보가 도전장을 던졌다. 우에노 히로시 후보는, 군마현에서 참의원 의원을 2번 지낸 우에노 고세이 전 의원의 사위인데, 관료 퇴직 이후 자민당의 공천을 받지 못하자 2010년 제22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모두의 당 비례대표 후보로 당선되었다. 하지만 2년만에 참의원 의원직을 내던지고 일본 유신회로 옮겨 중의원 의원직에 도전했다.

선거 결과 사타 겐이치로 의원이 당선되었고, 우에노 히로시 후보는 2위이지만 석패율 제도를 통해 비례대표로 당선되었다. 지역구 현역 의원인 민주당 미야자키 다케시 의원은 3위로 낙선했다.


4.7.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군마현 제1구
마에바시시, 누마타시, 키류시 일부, 시부카와시 일부,
미도리시 일부, 토네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사타 겐이치로61,927표1위
32.99%당선
우에노 히로시54,530표2위
29.05%낙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미야자키 다케시49,862표3위
26.56%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타나바시 세츠코21,394표4위
11.40%낙선
유효표 수187,713표투표율
50.71%
선거인 수383,075인

오미 고지 전 의원이 이미 은퇴했기 때문에 자민당 사타 겐이치로 의원이 이번에는 연이어 출마했다. 미야자키 다케시 전 의원도 민주당 후보로 다시 출마했다. 한편 지난 선거에서 유신회 후보로 출마해 비례대표로 당선된 우에노 히로시 의원은, 이시하라 신타로를 따라 차세대당으로 옮겼다가, 당의 지지세가 너무 낮자 다시 탈당해 무소속 후보로 출마했다.

결국 사타 겐이치로 후보가 당선되었지만, 지난 총선에 비해 지지율이 무려 12%나 떨어진다. 민주당 미야자키 후보도 이번에는 석패율제를 통해 비례대표로 당선된다. 무소속 우에노 후보는 지지율을 크게 끌어올렸지만 아깝게 낙선했고, 이후 자민당에 입당해 다음 총선에서는 비례대표로 당선된다.


4.8.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군마현 제1구
마에바시시, 누마타시, 키류시 일부, 시부카와시 일부,
미도리시 일부, 토네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오미 아사코92,641표1위
[7]48.75%당선
파일:희망의당(2017년) 로고 하얀색.svg미야자키 다케시71,569표2위
[8]37.66%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타나바시 세츠코25,818표3위
13.59%낙선
유효표 수190,028표투표율
51.26%
선거인 수387,276인


4.9.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군마현 제1구
마에바시시, 누마타시, 키류시 일부, 시부카와시 일부,
미도리시 일부, 토네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나카소네 야스타카110,244표1위
[9]56.32%당선
파일:일본유신회 로고만.svg미야자키 다케시45,529표2위
21.72%낙선
사이토 아쓰코24,072표3위
[10]12.30%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다나하시 세쓰코18,917표4위
9.66%낙선
유효표 수195,762표투표율
52.97%
선거인 수378,869인

당선 확정 후 환호하는 나카소네 야스타카 진영

이 지역구는 본선 대결 이전에 양 진영에서 후보를 정하는데도 큰 갈등이 벌어졌다.

서술했듯이, 자민당에서는 현역 지역구 의원인 오미 아사코와 비례대표 의원인 나카소네 야스타카가 공천을 놓고 치열한 경합중이다. 최종적으로 2021년 10월 15일 당에서 나카소네 야스타카 의원의 지역구 후보로 공천하고 # 오미 아사코 의원은 기타칸토 블록 비례대표로 출마한다.[[https://jimin.jp-east-2.storage.api.nifcloud.com/pdf/news/information/202106_2.pdf|##] 오미 의원에게는 비례대표 순번 1위를 주며 확실히 당선을 보장했다.

야권에서는 입헌민주당 지역구 지부장 응모에, 미야자키 다케시 전 의원등 3명이 신청했다. 하지만 군마 현련은 미야자키 전 의원을 탈락시켰다. 그리고 대학교수등을 지내고 2019년 참의원 선거에 출마했던 사이토 아츠코를 지부장으로 임명했다. 이에 반발한 미야자키 전 의원은 무소속으로 출마를 준비중이다. 이후 에다노 대표는 8월 31일 기자회견에서 본부 차원에서 후보를 공인하지 않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그러나 군마 현련과 렌고 군마는 계속해서 사이토 후보를 지원할 방침이다

이후 미야자키 전 의원은 일본 유신회의 공천을 받았고, 입헌민주당의 공천을 받지 못한 사이토 후보도 무소속으로 출마해 지역 입헌민주당 조직 및 렌고의 지원을 받아 선거를 치른다.

공산당도 지난 총선에서 출마한 타나바시 세츠코 전 마에바시시의원을 재공천했다.

투표 결과 자민당 나카소네 후보가 압승을 거두었다. 지난 총선에 비해 후보가 더 늘어났음에도 나카소네가 자민당 득표율을 7.5%나 끌어올리면서, 나카소네 가문의 영향력이 아직도 어마하다는 것을 제대로 보여줬다.

이후 미야자키 타케시 전 의원은 체급을 낮춰 2023년 군마현 의회 의원 선거에서 마에바시시 선거구에 출마해 당선되었다.


4.10.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이 지역에서 관할하던 키류시 서부 지역과 미도리시 북부 지역을 2구로, 시부카와시 동부 지역을 5구로 넘기면서 경계 분할을 해소시켰다. 다만 선거구의 모양이 북동부에 미도리시가 달랑달랑 매달려있는 우스꽝스러운 모양새가 되었다.

자민당에서는 나카소네 야스타카 의원의 3선 도전이 예상된다. 나카소네 이전에 지역구 국회의원이였고, 지난 총선에서 비례대표로 옮겨 당선된 오미 아사코 의원이 다시 지역구 의원직을 노릴지도 관심사이다.

공산당에서는 지난 총선에 출마한 다나하시 세쓰코 후보를 다시 공천했다. 참정당에서는 미용사이자 가족이 운영하는 사진 공방에서 근무하는 정치신인 이시카와 유라카가 출마한다.

[1] 한 지역구에 두 명의 정치인을 선거 때마다 번갈아가면서 공천하는 것을 '코스타리카 방식'으로 부른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공천 불복으로 무소속 출마하여 표가 분열돼서, 상대 진영에게 어부지리로 내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2] 조부 나카소네 야스히로의 지역구는 현재의 군마 4구, 군마 5구를 포함하는 舊 군마 3구(중선거구제) 였다. 원래대로라면, 야스타카는 군마 4구 또는 군마 5구에 출마해야되지만, 두 선거구는 소선거구제로 개편된 이후, 터줏대감이 후쿠다 가문, 오부치 가문으로 굳어진 상태였다. 그래서, 야스타카는 차선책으로 조부의 고향인 타카사키시 바로 옆에 있는 군마 1구(마에바시시는 해당 지역구에 속해있다)를 선택하게 되었다.[3] 추천[4] 추천[5] 추천[6] 추천[7] 추천[8] 군마현 총지부 추천[9] 추천[10] 군마현 연합 지원